COMMUNITY

다양한 교육 정보와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간이역을 되 살린 주민의 힘...

한 잊혀진 페광촌의 간이역을 지역 주민들이 뭉쳐 되 살리기로 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주민자치의 열풍이 한 참인 지금 지역 주민들의 힘이 얼만큼인지, 그리고 주민들의 열망에 따라 어떤 결과가 만들어 질 수 있는 지를 보여 준 훌륭한 사례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한낱 잊혀진 폐광촌의 옛 추억이라고 여기지 말아 주세요. 대한민국의 산업화 역사가 고스란히 담긴 문화유산입니다.” 27일 강원 정선군 신동읍 조동리 함백역 터 앞에 모인 주민들의 이야기 입니다. 

 “체육회장님이 복원에 필요한 벽돌을 모두 지원해 주시기로 하셨어요.” “벽돌뿐입니까, 시멘트도 모두 지원하겠습니다.” 

 열 달간 펼쳐 온 복원 운동의 열매가 맺히는 순간. 지역 주민들은 모두 나와 자축을 했고, 여기 저기서 성원이 이어졌다고 합니다. 

한국철도시설관리공단은 지난해 10월 31일 건물 노후 등을 이유로 함백역을 헐었습니다. 그러자 주민들은 “대한민국 석탄산업의 흥망이 담긴 문화유산을 보존해야 한다”며 복원운동을 펼쳐 왔고 지난달 30일 철도시설관리공단이 정선군에 역 터를 팔기로 하면서 복원이 확정되었고, 다음 달 복원공사를 위한 첫 삽을 떠 이르면 11월경 복원이 마무리된다고 합니다. 

자발적인 주민들의 힘으로 간이역 복원을 이뤄낸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합니다. 복원운동 내내 주민들이 보여 준 참여 열기는 뜨거웠고, 문화재청에서도 이를 지역문화재 보존의 모범 사례로 손꼽고 있다고 합니다. 

다음은 기사의 내용입니다. 

함백역은 1957년 석탄 개발 계획의 하나로 설립된 한국 광산역사의 구심점. 당시 개통식 때 주요 장관과 주미대사 등 500여 명이 참석했다. 국내서 가장 긴 나선형터널(2.6km)이 있는 곳이며 함백과 영월을 잇는 함백선의 유일한 역이었다. 고즈넉한 풍경과 어우러져 기차여행 마니아에게는 인기 있는 간이역 중 하나였다. 이런 함백역이 사라지자 주민들은 안타까워했다. 이곳에서 30년간 광원으로 일한 김승하 씨는 “역을 헐면서 현판은 말할 것도 없고 역사(驛史) 관련 문서, 역대 역장 기록도 남기지 않았다”고 말했다. 

진 소장은 “이곳 폐광촌을 문화관광부와 강원도가 탄광 문화가 담긴 근현대사 마을로 만들 계획이었다”고 말했다. 정부 한쪽에서 탄광촌 복원을 계획하는 동안 다른 한쪽에서 그 문화유산을 파괴한 셈이다. 

역이 헐린 뒤 주민들은 복원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해 역사적 사료가 절실하다며 국가기록원을 뒤져 함백역의 ‘숨은 역사’도 발굴했다. 

지난해 11월 정선군은 주민들의 뜻에 공감해 역 터를 사들이기로 결정했고 주민들의 십시일반이 줄을 이었다. 국유 재산을 매매하는 까다로운 절차 때문에 용지 매입이 9개월 가까이 지체되면서 인근 땅값을 올리기 위한 바람몰이라는 소문도 나돌았으나 주민들은 포기하지 않고 복원과 이후 활용을 위한 좌담회를 꾸준히 열었다. 

함백역 복원에 필요한 건축비는 1억여 원으로 예상된다. 주민들은 복원에 필요한 자재와 공사 등을 직접 맡을 계획이다. 전기 공사를 맡겠다는 주민, 조경용 나무를 내놓겠다는 주민 등 모두 앞 다투어 힘을 보태고 있다. 

역이 완공되면 1950, 60년대 탄광촌 문화와 탄광사를 소개하는 ‘주민자치박물관’으로 운영하면서 현지 문화와 역사에 밝은 노인들이 해설사로 나설 생각이다. 진 소장은 “‘그래 봤자 오래된 간이역에 불과하지 않으냐’고 무시하는 이들이 있는데, 수백 년 된 건축물만 문화재로 보존하고 간이역 같은 역사적 삶의 현장을 없애 버리면 후대에 무엇을 문화재로 전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많은 부분을 우리에게 시사하고 있는 사건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향 후 지역의 발전을 위해서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해 보여주고 있는 좋은 사례였던 것 같습니다.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 필요한 것과 무엇을 바꾸어야 할 지에 대해 가장 잘 알고 있는 사람은 당연히 그 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일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주민자치만이 지역의 발전을 위해 살 길이 분명 맞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최준호 칼럼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38 남북정상회담을 바라보며... 관리자 10-02
237 긍정의 힘.. 관리자 09-30
236 다섯 번은 왜라고 물어라. 관리자 09-27
235 부부가 닮는 이유.. 관리자 09-21
234 컵라면 앞 \"3분\" 다 이유가 있지요 관리자 09-20
233 창조적 인재를 보호하는 방법 ... 관리자 09-17
232 시간(time)보다 타이밍(timing) 관리자 09-13
231 남이섬의 상상력.... 관리자 09-10
230 여수, 순천, 광양시의 통합과 지방자치단체... 관리자 09-07
229 제 3의 힘... 관리자 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