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다양한 교육 정보와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꼴찌로 조사된 서울의 행복지수...

우리나라의 행복지수가 하위권 수준이라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입니다. 그럼에도 위안을 받을 수 있었던 부분은 행복지수가 높았던 나라들이 대부분 가난한 나라들이었기에.. 

 복잡한 환경과 발전한 문명이 자연을 가까이하고 살아가는 분들보다 행복에 대해 다소 느끼기 어렵지 않나라고 위안을 삼을 수 있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조사된 결과는 그런 작은 위안 마저도 냉철하게 부정하게 만든 듯 합니다. 

다음은 언론에 실린 내용입니다. 

 서울시민의 행복지수가 세계 10개 주요 도시 가운데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복지재단과 대한민국학술원은 서울시민의 행복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서울, 뉴욕, 토론토, 런던, 파리, 베를린, 밀라노, 도쿄, 베이징, 스톡홀름 등 도시경쟁력을 갖춘 세계 주요도시 10곳을 선정한 뒤 해당 도시 시민들의 행복도를 조사해 18일 그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각 도시별로 1천명씩의 시민을 전화면접해 이뤄졌으며, 조사항목은 ▲경제 ▲문화.교육 ▲복지 ▲안전 ▲생태환경 ▲생활환경 ▲시행정 ▲공동체생활 ▲건강 ▲자부심 ▲행복도 등 11개 항목이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 이 같은 조사를 매년 실시, 시민들의 행복 체감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것\"이라면서 \"서울시는 이번 조사 결과를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고 `과학행정\'을 펼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시민의 행복지수는 세계 10개 주요도시 가운데 최하위인 63.64점(100점 만점)으로, 평균(73.17점)은 물론 일본 도쿄(69.01)나 중국 베이징(67.76)에도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지수 1위 도시는 스웨덴 스톡홀름(80.08점)으로 조사됐으며, 이어 캐나다 토론토(79.97점), 미국 뉴욕(78.30) 등의 순이었다. 

아시아권 도시인 일본의 도쿄와 중국의 베이징은 각각 8위와 9위로 나타나 아시아 대도시 시민들의 행복지수가 북미와 유럽 주요도시에 비해 대체로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항목별로 보면 시민으로서의 자부심의 경우 서울시민은 55.51점에 불과, 조사 대상 도시 시민들의 평균(71.82점)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뉴욕(82.99점), 토론토(80.03), 런던(76.5)이 1~3위를 차지해 시민 행복도가 높은 도시일수록 시민들의 도시에 대한 자부심도 높게 나타났다. 

이밖에 서울은 문화.교육(49.83점), 복지(32.04점), 생활환경(55.5점), 시행정(46.89점), 공동체생활(44.08점) 등에서도 최하위를 기록했으며, 특히 생태환경의 경우 28.64점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서울은 전체 11개 조사항목 가운데 8개 항목에서 최하위를 차지했다. 

이밖에 서울은 경제(38.79점)의 경우 7위, 안전(37.62점)과 건강(66.83점)의 경우 각각 9위를 기록해 간신히 꼴찌를 면했다. 

조사에 참여했던 이남영 숙명여대 교수는 \"시민 행복도는 그 도시의 경제적 조건보다는 문화, 교육환경, 복지수준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면서 \"특히 서울의 경우 우리 사회의 장점으로 여겨져 온 공동체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유럽도시에 비해 매우 낮은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시민의 공동체생활에 대한 행복지수는 44.08점으로, 독일 베를린(73.1점), 이탈리아 밀라노(70.63점), 프랑스 파리(70.59점) 등보다 훨씬 낮았다. 

아쉬운 부분은 자부심 조차도 최하위권이라는 부분입니다. 단순히 보여지는 잣대만이 아닌 우리 전체의 의식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되는 조사였던 것 같습니다. 

최준호 칼럼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58 행복 바이러스가 되자! 관리자 02-28
157 癌도 꺾지 못한 ‘만학의 꿈’ 관리자 02-26
156 호주 노부부의 아름다운 사랑이야기... 관리자 02-22
155 구직자 4명중 1명은 자살까지도 생각했다니... 관리자 02-20
154 설날에 대하여.. 관리자 02-16
153 현대과학이 밝혀낸 장수의 비결.. 관리자 02-15
152 건강다이어트, 복부비만 해결부터.... 관리자 02-12
151 브랜드의 가치와 삼성전자... 관리자 02-08
150 브랜드가 되어 버린 용기들... 관리자 02-07
149 백두산은 중국땅? 관리자 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