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다양한 교육 정보와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내집마련이 더 힘들어 진다니...

만만치 않은 세상이고, 
경제에 대한 어려움과 경제회복에 대한 기대가 더 높기 힘든 상황이긴 합니다만, 

그렇다고 해도 내집마련이 더 힘들어졌다는 발표는 처진 어깨를 더욱 힘들게 하는 것 같습니다. 

다음은 보도의 내용입니다. 

결혼 후 주택장만까지 걸린 기간은 평균 9.4년으로 지난해보다 1년 이상 더 소요되는 등 내집 마련이 점점 힘들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은행연구소가 전국 19개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2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26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결혼 후 내 집 마련에 소요된 기간은 평균 9.4년으로 지난해 8.2년보다 1.2년 이상 더 늘어났다. 

또 최근 3년간 평균 주택 구입 가격은 2억3천599만원으로이었으며 구입 가구의 59.2%는 금융기관으로부터 평균 8천378만원을 대출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주택을 구입한 가구를 기준으로 연소득 대비 구입주택 가격비(PIR)은 6.6배로 작년 6.5배보다 소폭 상승했다. 이는 연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6년 이상 모아야 집을 살 수 있다는 의미다. 

지역별로는 서울 강북권의 PIR은 7.9배인 반면 강남권은 12.3배로 지역별 집값에 따른 편차가 심했다. 

월 평균 대출금 상환액은 55만2천원으로 월 소득의 15.5%를 대출금 상환에 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간 소득이 1천500만원 미만인 저소득층 가구는 소득의 39.2%를 대출상환에 쓰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조사가구의 10.1%는 향후 2년 이내 주택구입을 희망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42.6%는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을 받아 구입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구입 희망 가구의 월 평균 상환가능금액은 84만1천원으로 전년도 81만7천원보다 증가했다. 

조사가구의 연평균 가구소득은 3천739만원으로 지난해 3천679만원보다 2% 상승했다. 

내년 주택가격 전망은 29.9%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하락은 16.6%, 보합은 43.2% 등으로 보합을 예상하는 응답자가 많았다. 

주택문제와 관련해 정부가 추진해야 할 중점 과제로는 저소득층 지원 강화(40.8%), 주거의 질 개선(25.1%), 세제 및 대출규제 완화 등 부동산 규제완화(21.1%), 세제 및 대출규제 강화 등 투기억제(19.2%) 등을 꼽았다. 

내용만 보셔도 한숨이 절로 나올 듯 합니다. 

부디 새해부터는 조금이나마 어깨가 가벼워 질 수 있었으면 하고 바랍니다.  

최준호 칼럼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58 커뮤니케이션의 가치... 관리자 11-22
257 넘치는 미분양, \"때론 기회\" 관리자 11-20
256 임계점을 향하여... 관리자 11-16
255 유머의 가치... 관리자 11-14
254 새를 사랑한다는 말의 의미... 관리자 11-12
253 경기도 의회마저... 관리자 11-09
252 스케일링 보험확대를 환영하며... 관리자 11-07
251 학벌과 취업의 상관관계... 관리자 11-05
250 \"한국경제 3대 기현상\" 장하준 교수의 진단 관리자 11-02
249 배려란... 관리자 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