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교육 정보와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아침 신문에 프랑스 파리의 자전거 혁명이 환경문제와 교통체증을 동시에 해결하고 있다는 놀라운 기사를 접했습니다. 발상의 전환은 물론 현제의 당면문제까지 해결해 낸 놀라운 소식이라고 느꼈습니다. 많은 분들이 이 기사를 접하셨을 거라고 생각되지만, 우리에겐 더 없이 소중한 벤치마킹의 모델이 될 수 있을거라고 판단되어 소개하고자 합니다.
다음은 기사의 내용입니다.
프랑스 파리 시내 노트르담 성당 앞. 몰려드는 관광객들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하지만 상습 교통정체 구간인 성당 앞 도로는 한산해 보였다. 이유는 자전거 이용이 늘면서 자동차 운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이날 지나가는 자전거 숫자를 30분 동안 조사한 결과 620여 대에 이르렀다. 2.9초당 한 대꼴이었다. 특히 관광객으로 보이는 이용객이 많았다. 신호등 앞에 멈춰 선 영국 대학생들에게 말을 걸어봤다. 그들은 “방학이면 항상 북유럽으로 자전거 여행을 떠났는데 올해는 처음 파리에 왔다”면서 “런던보다 자전거 운행 대수가 훨씬 많은 것 같다”고 말했다.
파리시에 얼마나 많은 자전거가 운행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최근 이틀 동안 파리 시내 주요 도로에서 자전거 통행량을 직접 점검해봤다. 관광객이 많은 오페라와 노트르담, 에펠탑 주변 그리고 출근 시간에 15구 주택가에서 30분씩 조사했다.
그 결과 오페라 앞 거리는 30분에 520여 대, 에펠탑 앞은 410여 대, 15구의 주택가 출근길은 290여 대가 지나갔다. 다소의 오차는 있으나 평균 3.9초당 한 대꼴로 자전거를 만날 수 있었다.
◇자전거로 일궈가는 도시 교통혁명=한때 교통지옥으로 유명했던 파리시가 자전거 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지난해 파리시가 무인자전거 대여 시스템 벨리브(Velib)를 도입하면서다. 파리의 20세기 최고 히트상품이라는 벨리브는 환경친화 도시를 목표로 한 베르트랑 들라노에 시장의 작품이다. 들라노에 시장은 파리의 교통량을 2020년까지 2001년의 40% 수준으로 줄이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그 일환으로 벨리브를 시작했다. 그 효과가 나타나 교통량이 줄고 있는 것이다.
벨리브는 현재 대여소 1450여 곳, 자전거 2만600여 대로 운용되고 있다. 29유로(약 4만6000원)를 내면 이용할 수 있는 연간 회원의 경우 7월 말 기준 20만4000여 명이다. 벨리브 이외의 자전거 숫자까지 포함하면 하루에 10만 대 이상의 자전거가 파리 시내를 누비고 있다. 파리 시는 교외 거주자들의 파리 출퇴근 편의를 도우려고 파리 인근 지자체들과 협의해 6000여 대를 새롭게 배치할 계획이다.
◇자전거 타고 다니기에 좋게 기반 마련한 것이 먹혀=이처럼 자전거 이용이 활발한 것은 2000년대 들어 파리 시가 꾸준히 자전거 도로 확보에 나선 덕분이다. 2000년 파리시의 자전거 도로는 180.5㎞로 전체 도로의 6% 수준이었지만 벨리브 시행 직전인 2006년 말에는 371㎞로 두 배 이상 늘었다. 여전히 전용도로는 부족한 편이지만 차량 운전자의 불만을 사면서까지 자전거 도로를 늘려 왔다.
파리 시민의 만족도 역시 대단히 높다. 6월 실시한 이용자 실태 조사에서 벨리브 이용자의 94%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자전거 반납에 어려움이 있고 고장 난 자전거의 수리가 빨리 이뤄지지 않아 불편하다는 응답이 있었지만 우려할 수준은 아니었다.
노트르담과 오페라 등 관광지에서 이용객이 훨씬 많았던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벨리브는 파리에서 또 하나의 관광 상품으로도 확실하게 자리 잡았다.
여기까지가 기사의 내용이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당장 실행하기에는 많은 문제점들이 놓여있다고 생각됩니다. 자전거 전용도로와 무료대여소. 시 당국의 의지. 시민의 안전을 지킬 수 있는 각종 편의시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우리의 인식 등...
그래도 언젠가는 우리도 반드시 이루어질 거라고 조심스럽게 전망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