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교육 정보와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유명한 석유재벌이자 최고의 자선사업가였던, 금세기 최고의 부자였던 록펠러가 자손들에게 금전에 대해 어떻게 교육했는가에 대한 글이 있기에 발췌편집해서 소개합니다.
맨해튼 은행장이었던 데이비드는 할아버지인 록펠러가 어떻게 돈 쓰는 방법을 가르쳤는지 사람들에게 자주 들려주곤 했다고 합니다. 록펠러는 데이비드가 아이였을 때 일주일 용돈으로 25센트를 주었습니다. 그리고 평소 작은 지출도 빼놓지 않고 사용 용도를 노트에 기록하도록 했지요. 그는 주말이 되면 할아버지 앞에 앉아 일주일 동안 기록한 노트를 보여 주었습니다. 그러면 록펠러는 손자의 노트를 보며 함께 일주일 용돈을 결산하곤 했습니다.
그는 데이비드가 돈을 바른 곳에 적절하게 썼으면 칭찬의 의미로 5센트를 얹어 주었죠. 하지만 허튼 곳에 돈을 썼거나 노트를 기록하는 것에 소홀했으면 얼마 되지 않은 용돈에서 여지없이 5센트를 깎아 버렸습니다.
이렇게 결산이 끝나면 록펠러는 데이비드에게 이렇게 말하곤 했습니다.
“네가 사용하는 용돈은 결코 거저 주어진 것이 아니란다. 여러 사람들의 숨은 노력이 있었기 때문에 작은 돈이지만 너에게 주어진 것이지. 그러니 늘 돈이 생기면 그 중에 일부를 다른 사람들을 위해 써야 한다.”
록펠러는 이렇게 작은 돈도 제대로 바르게 쓰도록 했고 수입의 일부분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도록 가르쳤습니다. 결국 오늘날 록펠러재단과 연구소는 이러한 록펠러 가문의 엄격한 금전교육 덕분에 사회를 위해 더 많은 공헌을 할 수 있었습니다.
조기 교육에 대해 우리는 지나칠 정도로 강조합니다. 조기 영어교육, 조기 언어교육, 조기 창조력교육 등 조기 교육이란 이름으로 행해지고 있는 교육들과 중요성에 대한 강조는 하나의 상식이 되어버렸을 정도입니다. 하지만, 물질적 가치의 소중함과 아이의 올바른 가치관의 정립을 위해 우리가 투자하고 있는 조기교육은 그다지 많은 듯 합니다. 똑똑한 사람을 만들 것인가? 훌륭한 사람을 만들 것인가? 우리가 선택해야 할 문제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