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교육 정보와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오늘 자 서울신문에 실린 기사입니다.
새롭게 주류로 부상하고 있는 계층에 관한 기사였는데...
골드 키즈(Gold Kids), 요리하는 남편, 명품을 소비하는 2030세대 등에 관한 기사였습니다.
기사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통계청은 29일 주요 사회 및 인구통계, 소비통계 등을 분석해 올해 새롭게 주목받을 \'블루슈머\'를 제시했다. 블루슈머는 경쟁이 없는 시장인 블루오션(Blue Ocean)과 소비자(Consumer)의 합성어다.
올해의 7대 블루슈머는 ▲외둥이 황금시대 ▲부자처럼 2030 ▲요리하는 남편, 아이보는 아빠 ▲신(新) 부부시대 ▲제3의 가족 ▲여행과 레저를 즐기는 장년층 ▲공포에 떠는 아이들 등이 선정됐다.
지난해 우리나라 여성 1명이 평생 낳는 아이의 총 수인 합계출산율은 1.26명으로 세계 최저 수준. 이에 따라 형제가 없는 외둥이가 대거 늘고 있다.2000년에 태어난 아이 중 첫째의 비율은 47.2%였으나 2007년에는 53.5%로 높아졌다.
이러한 저출산과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영유아 사업(엔젤 산업)은 하루가 다르게 팽창하고 있다. 하나뿐인 내 자식을 남다르게 키우겠다는 부모들의 열망을 타고 \'외둥이 황금시대\'가 열리고 있기 때문. 이에 따라 어린이 전용 펀드와 외둥이 미용실, 감성놀이 학교 등이 유망산업으로 꼽혔다.
요리하고 아이를 보는 아버지의 숫자도 빠르게 늘고 있다. 지난해 가사 노동을 하는 남성은 총 14만 3000명으로 2003년 대비 35% 증가했다. 그 결과로 사이즈가 큰 다기능 고무장갑, 재료를 넣기만 하면 자동으로 이유식이 만들어지는 홈메이드 이유식기, 간편 전자레인지용 젖병 소독기 등 남성 전업주부들의 편의를 위한 제품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명품을 즐기는 2030세대가 늘고 있다는 것 역시 새로운 트렌드다. 통계청의 가계자산조사에 따르면 2006년 5월 말 현재 20∼30대 가구의 자동차 보유비율은 66.7%로 2000년에 비해 14.4%포인트 증가했다. 또 25∼29세의 절반 정도(49%)가 귀금속 등 고가품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자신을 위해 소비와 투자를 당장 실행하는 20∼30대의 적극적인 소비 감성에 맞는 실속형 수입차나 대중명품 상품 등은 올해도 인기를 끌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기사를 접하고, 새로운 사업아이템을 구상하시는 분들도 물론 있으셨겠지만, 제가 받은 느낌은 우리 사회가 점점 자아중심적으로 변화고 있다라는 탄식이었습니다.
지나친 육아비에 대한 부담으로 외자녀 가정이 늘고 있고, 구직이 어려워지면서, 가사를 전담하는 남성들이 늘고 있고, 자신들을 위한 명품과 여행, 수입차에 대한 증가, 외로운 노년 층, 늘어만 가는 영, 유아 대상의 범죄...
어느 것 하나 긍정적인 변화처럼 보이지 않습니다.
이런 경향까지도 새로운 트렌드로 보아야 하는지 답답한 마음 뿐입니다. 이 새로운 변화를 극복할 수 있다면, 그것이 바로 성공적인 미래사회가 아닐까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