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다양한 교육 정보와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평범한 쓰레기의 힘...

환경문제가 너무나 큰 문제로 대두되는 요즘.. 
고갈된 에너지 덕에 석유파동을 겪은 것도 얼마전이고,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으로 인해 수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현실에서. 우리의 귀를 너무나 솔깃하게 만드는 뉴스가 나왔기에 오늘 소개하고자 합니다. 다음은 기사의 내용입니다. 

 작년에 우리나라에서 음식쓰레기나 음폐수 등으로 생산해 사용한 바이오가스의 가치가 원유 13만배럴과 맞먹는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가 29일 발표한 작년 유기성폐자원 에너지 활용시설 현황 자료에 따르면 음식물쓰레기와 가축분뇨 등으로 생산한 바이오가스는 4438만3000㎥이고, 이 중 3736만2000㎥가 보일러 연료와 발전시설 가동에 사용된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는 사용된 바이오가스는 원유 12만9320배럴에 상당하는 에너지로, 282억원의 수입대체 효과를 거뒀다고 분석했다. 

바이오가스는 발열량이 높아 유용한 에너지 자원으로 분류되는 메탄 성분이 60%가량 함유돼 있다.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지구온난화 지수가 21배나 높은 온실가스이기 때문에 태워서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하면 악영향이 감소한다. 

환경부 관계자는 \"화석연료 고갈과 고유가에 대비해 신재생에너지를 확보하고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 기후변화에 대처한다는 의미에서 폐자원 에너지 활용의 중요성이 부각된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바다에 버리거나 소각·매립하는 음식물쓰레기·폐수(5971톤/일), 가축분뇨(7100톤/일), 하수슬러지(6220톤/일)를 모두 자원화하면 연간 321만배럴(7000억원)의 원유를 대체하는 경제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환경부는 69%가 바다에 버려지는 하수슬러지를 화력발전소 연료로 활용하도록 하는 제도를 마련하기 위해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바이오가스와 매립가스를 도시가스, 자동차 연료 등에 쓰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환경부는 바다에 버리는 유기성폐자원의 26%를 2013년까지 에너지 자원으로 활용하고 2020년까지는 모든 해양투기 폐자원을 에너지로 전환할 계획이다. 

좋은 소식입니다. 우리의 미래를 조금이나마 보호해 줄 수 있는 많은 긍정의 소식과 아이디어들이 계속해서 이어지기를 기대합니다.  

최준호 칼럼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8 추위를 녹이는 승전보와 살신성인의 숭고함에 대하여... 관리자 01-21
467 반가운 화합의 성탄메세지... 관리자 12-23
466 연평도의 모든 희생자들을 추모합니다. 관리자 11-25
465 참 된 사랑의 의미를 돌아보며... 관리자 10-28
464 바닥에 떨어진 교권과 커뮤니케이션의 책임... 관리자 10-20
463 스스로 창조자가 되자... 관리자 10-07
462 중국이 부러워하는 한민족 커뮤니케이션의 힘... 관리자 09-06
461 진정한 민의는 무엇일까? 관리자 08-30
460 청문회를 보면서 떠오르는 명언... 관리자 08-23
459 살아남기 위한 창조적 특화 아파트들... 관리자 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