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교육 정보와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고 최규하(崔圭夏) 전 대통령의 장례가 5일장 형태의 국민장으로 사실상 확정됨에 따라 최 전 대통령은 오는 26일 영면하게 됐습니다.
자신과 나라의 명암을 송두리째 바꾸었던, `10.26\' 사태가 있은지 꼭 27년이 지난 시점에서, 우리가 알고 싶어하는 수 많은 진실을 묻은 채 다른 세상으로 떠나버렸습니다.
정부는 23일 중앙청사에서 한명숙(韓明淑) 총리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어 `최규하 전 대통령 국민장 계획안\'을 원안대로 의결, 26일 경복궁 뜰 앞에서 영결식을 엄수한 뒤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 국가원수 묘역에 안장키로 했다고 합니다. 이는 대통령 재가를 거쳐 최종 확정되지만, 사실상 결정되었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입니다.
79년 10월26일 박정희(朴正熙) 전 대통령이 부하의 총탄에 맞아 갑작스레 서거한 `10.26 사태\'는 외무부 장관을 거쳐 4년간 국무총리직을 수행하는 등 공직생활에서 승승장구하던 최 전 대통령을 혼돈의 회오리 속으로 내모는 결정적 계기가 됩니다.
최 전 대통령은 5년간 외무부 장관을 역임한 것을 비롯, 71년 대통령 외교담당 특별보좌관을 맡아 두 차례 평양에 특사로 파견되는 등 정통 외교관료로서 박 전 대통령의 큰 신임을 받았고, 한일회담 등을 최전방에서 진두지휘하는 등 후대의 여러가지 평가를 남겨두고 있기는 하지만, 그 시절, 대표적 관료로서 한 획을 그은 분인것 만큼은 사실일 것입니다. 최 전 대통령도 후일 지인들에게 \"나는 박정희 사람\"이라고 술회했을 정도로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신의가 남달랐던 것으로 전해집니다.
신문 보도에 따르면, 최 전 대통령의 한 지인이 \"우연의 일치이겠지만, 최 전 대통령의 장례일이 10월26일인 것은 역사의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기묘한 우연이 아닐 수 없겠지요. 또 다른 보도에 따르면 비록 최 전 대통령이 비록 회고록을 남기진 않았지만, 자신이 겪었던 역사적 사건들에 대한 상세한 기록을 남겼을거라고 합니다.
비록 사건의 당사자들이 대부분 살아 있고, 법적 공방을 통해 대부분의 판결이 이루어진 상태이지만, 국민들은 최 전 대통령이 알고 있는 진실에 대해 무척 궁금해 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기록과 진실에 대한 치명적인(?)약점을 가지고 있었던 우리의 역사에서 제대로 된 진실과 기록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생각을 다시 한 번 해 봅니다. 동북공정과 같은 억지 논란에 휘말려야 할 만큼 역사의 기록에 약점을 가지고 있었던 우리였기에, 가까운 현대사의 진실만큼이라도 반드시 알고 싶어지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무덤까지 가지고 가는 것이 책임이라고 믿고 있는 우리네 권력의 중심에 서 계셨던 분들에게, 국민의 한 사람으로써 반성까지는 아니더라도 국민앞에 그 진실을 알리고 정당한 평가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드리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