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교육 정보와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미국 베일러대학 마이클 프리시 교수에 따르면
사람은 행복할수록 더욱 의욕적이고 생산적이 되어서,
고객이나 상사에게 더 큰 만족을 주고
결과적으로 더 많은 월급을 받게 된다고 합니다.
프리시 교수는 인간의 행복감 중 절반은 유전에 의해 결정되고
나머지 50%가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고 말합니다.
그가 후천적 행복을 결정하는 요소로 개발한 \'삶의 질 목록\'은
건강, 자긍심, 목표, 돈, 일, 놀이, 배움, 창의성, 남을 돕기,
사랑, 친구, 자녀, 친지, 가정, 이웃, 커뮤니티 등
총 16개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행복한 사람이 돈을 많이 버는 반면 그 역은 성립하지 않습니다.
프리시 교수에 의하면 \"돈이나 물질 가치를 상위에 놓는 사람일수록
더욱 비관적이며 불행하다\"고 합니다.
우리가 목표로 삼아야 할 가장 큰 부분이...
아마도 행복에 대한 추구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래서 헌법에서도 행복추구권에 대해 그렇게 강조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매일 스스로에게 행복하다고 말하고, 항상 행복해지기 위해 노력한다면, 언젠간 반드시 행복해 지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