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다양한 교육 정보와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한글날을 맞이하여....

올해도 어김없이 한글날이 돌아왔습니다. 10월엔 추석을 비롯한 워낙 많은 휴일과 기념일이 몰려있어 사실상 공휴일도 아닌지라, 우리에게 예전과 같은 의미를 주지 못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기에, 세계적으로도 몇 없는 우수한 글이자, 우리에게 무한한 자긍심을 심어주는 한글임에도 우리가 그 가치에 대해 너무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듯 해서 약간의 불안감을 주고 있는 것도 사실인 듯 합니다. 
 언젠가 부터 우리는 우리에게 주어진 것들에 대해 감사하는 마음보다는 너무도 당연하게 여기는 풍조가 지배적이 되었습니다. 지금 우리가 누리는 것들이 있기까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노력하고, 자칫 우리에게까지 전해지지 못할 위기를 수십 차례나 격었음에도 우리내 젋은 세대들에겐 그 숭고한 가치가 전혀 전해지지 못하고 있는 것도 같습니다. 

 한글날의 사전적 정의를 보면 이렀습니다. 
\"한글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세종대왕의 성덕과 위업을 추모하기 위한 기념일. 1926년 11월 4일 조선어연구회(한글학회의 전신)가 주축이 되어 매년 음력 9월 29일을 \'가갸날\'로 정하여 행사를 거행했고 1928년에 명칭을 \'한글날\'로 바꾸었다. 1932, 1933년에는 음력을 율리우스력으로 환산하여 양력 10월 29일에 행사를 치렀으며, 1934~45년에는 그레고리력으로 환산하여 10월 28일에 행사를 치렀다. 그러나 지금의 한글날은 1940년 〈훈민정음〉 원본을 발견하여 그 말문(末文)에 적힌 \"正統十一年九月上澣\"에 근거한 것으로, 이를 양력으로 환산해보면 1446년(세종 28) 10월 9일이므로 1945년에 10월 9일로 확정했다. 이 날에는 세종문화상을 시상하고 세종대왕의 능인 영릉(英陵)을 참배하며 전국에서 학술대회 및 각종 백일장을 거행한다.\" 

한글날은 세종대왕의 우수한 업적을 기림은 물론이며, 자칫 일제로 인해 우리는 하마터면 한글의 존재자체도 모를 뻔 했던 우리의 과거를 기억해야 하는 날입니다. 우리에게 주어진 이 소중한 한글. 이 한글을 지키기 위해 자신을 바친 수 많은 사람들을 기리는 것이 진정한 한글날의 의미가 아닐까 하고 생각해 봅니다.  

최준호 칼럼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18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바라보며.... 관리자 11-10
117 당신은 혼자가 아니다... 관리자 11-08
116 정확한 결정을 내리려면... 관리자 11-03
115 기도의 힘.... 관리자 10-31
114 생의 철학.. 관리자 10-30
113 인생의 장부책 관리자 10-27
112 동대문 야구장 철거를 바라보며.... 관리자 10-25
111 역사속으로 사라진 최 규하 전 대통령과 진실.... 관리자 10-23
110 \"그럴 수도 있지\" 관리자 10-20
109 북핵과 한국경제.. 관리자 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