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다양한 교육 정보와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직장인과 스트레스(관련글..)

스트레스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고, 
우리가 심각하게 여기는 질병들의 원인으로 스트레스가 손꼽히고 있는 가운데, 스트레스에 관한 조사가 있어 소개하고자 합니다. 

다음은 관련 기사입니다. 

직장인 10명 중 9명 정도가 현재 직장생활 중 직무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이들 중 49.6%는 ‘현재 심각한 수준의 직무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고 응답, 기업의 직원 직무스트레스 관리가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온라인 리크루팅 업체 잡코리아(www.jobkorea.co.kr)와 직장인 지식포털 비즈몬(www.bizmon.com)이 지난 11월 22일부터 12월 7일까지 국내외 기업에 재직 중인 직장인 1,127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 드러난 사실이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조사 대상 직장인 87.8%(990명)가 현재 직장생활을 하면서 직무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답했다. 이같은 결과는 성별과 직급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성별로는 현재 직무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답한 남성 직장인이 89.8%로 여성 직장인(78.3%)에 비해 11.5% 정도 높은 수준이었다. 직급별로는 과장급 직장인(90.7%)들이 직무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대리급(89.4%), 사원(87.7%), 차장급(83.8%), 부장급(82.8%) 등의 순이다. 

이들 직장인 2명 중 1명(49.6%)은 자신들이 현재 받고 있는 직무스트레스는 ‘심각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에 비해 현재 직장생활을 하면서 받고 있는 직무스트레스가 ‘심각한 수준은 아니다’라고 답한 직장인은 17.3%에 불과했다. 또 조사대상 직장인 중 39.8%(448명)는 직무스트레스로 인해 회사를 그만 둔 경험이 있었다.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퇴사경험은 여성 직장인이 56.6%로 남성 직장인(36.4%)보다 20.2%포인트나 높은 수준이었다. 

이들이 받는 직무스트레스의 주된 원인(*복수응답)은 ‘과도한 업무량’ 때문이라는 답변이 응답률 48.3%로 가장 높게 조사됐다. 뒤이어 △미래 회사와 자신에 대한 불확실한 비전(44.0%) △업무책임감(38.5%) △다른 회사에 비해 뒤떨어진 복리후생(34.2%) △업적성과에 따라 이뤄지지 않는 급여, 임금인상(23.4%) △조직에서 모호한 자신의 위치(20.8%) △상사와의 관계(19%) △동료, 부하직원과의 대인관계(15.6%) 등의 순이다. 

한편 이들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조사한 결과, ‘술이나 담배’로 해소한다고 밝힌 응답자가 43.7%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 운동 등 취미생활(23.0%) △직장동료와 터놓고 대화(12.8%) △친구나 가족과 터놓고 대화(11.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 김화수 사장은 “직장인들이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이상 안전할 수가 없기 때문에 기업은 회사의 위기를 관리하는 것처럼 구성원들의 스트레스 관리에도 신경을 써야한다”면서 “조직원의 정신적·육체적 건강수준은 기업경쟁력의 척도이며, 구성원의 정신적 스트레스와 육체적 건강 등을 효율적으로 잘 관리해 주는 회사만이 초일류 기업으로 성장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준호 칼럼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48 열정에 대하여... 관리자 08-14
347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공기업 개혁... 관리자 08-11
346 국민게임 \'카트라이더\'... 관리자 08-08
345 이제는 게임이 효자산업입니다. 관리자 08-06
344 독도문제... 언제까지... 관리자 07-30
343 다시 찾는 우리의 고궁과 고택... 관리자 07-28
342 구름 이야기... 관리자 07-25
341 긍정적인 쓰레기... 관리자 07-22
340 시름의 골은 깊어만 가고... 관리자 07-18
339 인공태양... 찬란한 가능성.. 관리자 07-16